본문 바로가기

교수진

교수진소개

교수진소개

제주대학교 윤리교육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.

글자크게 글자작게 프린트

강봉수 교수

  • 세부전공

    윤리교육/동양철학

  • 연구실사범대학2호관 2312호
  • 전화/국제전화064)754-3269/
  • 이메일bingwoo@jejunu.ac.kr
  • 홈페이지
경력 및 논문
경력 및 논문
학력

·제주대학교 윤리교육과 졸업
·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윤리교육(석사)
·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윤리교육(박사)

주요경력

· 한국윤리교육학회 부회장
· 사범대학 부학장(2005.12.1~2007.11.30)
·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학과장
· 한국윤리학회이사, 시민윤리분과위원(2005.1.1~현재)
· 제주대안연구공동체 이사
· 제주교육희망네트워크 대표

주요논문 ▣ 논문

· 제주인의 친목회 활동과 부조문화에 대한 의식조사 연구 - 제주시 동(洞) 지역의 문중(종친)회, 동창(동문)회, 향우회를 중심으로, 탐라문화, 2023.
· 최한기의 도덕심리학 연구, 윤리교육연구, 2022.
· 최한기의 도덕지식론 연구, 윤리교육연구, 2020.
· 공자학에서 장자학으로 철학적 사유의 계승과 발전 -『논어』의 공자와『장자』의 공자 비교-,윤리교육연구, 2019
· 맹자윤리학에서 도덕적 가치갈등의 해결, 윤리연구, 2017.
· 맹자의 노심자(勞心者)의 도덕적 책무에 관한 연구, 도덕윤리과교육, 2017.
· 맹자의 사상적 대결과 유학의 정통성 확립, 윤리교육연구,2016.
· 묵자의 도덕교육론 연구, 윤리교육연구,2015.
· 묵자철학에서 필연과 자유의 관계, 도덕윤리과교육, 2015.
· 제주의 의식주생활에 함의된 윤리적 문화문법, 윤리연구, 2014.
· 노자의 무위정치와 생명평화공동체, 윤리교육연구, 2013.
· 노자의 도덕교육사상 다시 읽기: 말없는 가르침과 직관적 깨달음, 도덕윤리과교육, 2013.
· 노자 [도덕경]에 함의된 생명사랑의 무위윤리와 겸허의 덕, 윤리교육연구, 2013.
· 노자 인성론의 수양론적 재해석:지성과 본능의 소유론적 욕망 내려놓기, 도덕윤리과교육, 2013.
· 공자정치론의 사회윤리적 접근, 윤리교육연구 , 2012
· [논어] 속의 인간상 연구: 인격적 전형을 중심으로, 도덕윤리과교육, 2012
· 공자의 윤리사상 다시 읽기: 인 개념의 재조명을 중심으로, 윤리연구, 2012
· 왕양명의 ‘良知學’과 도덕직관 함양론, 윤리연구, 2010.

▣ 저서 및 역서
· 도덕윤리교과 예비교사를 위한 동양윤리사상(하) -불교와 신유학 편-, 제주대학교출판부, 2024.
· 도덕윤리교과 예비교사를 위한 동양윤리사상(상) 제자백가철학 편, 제주대학교출판부, 2022.
· 제주문화문법과 교육, 누리, 2020.
· 맹자의 철학사상, 강현출판사, 2018.
· [성학십도]와 한국철학 경연, 강현출판사, 2016.
· 묵자의 철학사상 - 밥을 나눈 사랑, 강현출판사, 2016.
· <공저> 통일한국과 세계평화의 섬 제주, 오름, 2016.
· 동양 도덕교육론, 제주대학교출판부, 2014.
· 노자에게 길을 묻다, 누리, 2014.
· 주제별 키워드로 읽는 논어와 세상보기의 도, 원미사, 2012.
· 제주의 윤리문화와 도덕교육, 누리, 2009.
· 한국유교 도덕교육론, 한국학술정보(주), 2008.
· <공저> 중등교과학습지도법, 성민출판, 2006.
· 한국전통 도덕교육론, 한국학술정보(주), 2006.
· <공저> 제주국제자유도시와 세계시민교육, 오룸 2003.
· 유교도덕교육론, 원미사, 2001.
· <역서> 「중국윤리사상사」,원미사, 2007

+-

김동창 부교수

  • 세부전공

    도덕·윤리교육

  • 연구실사범대학2호관 2309호
  • 전화/국제전화064)754-3262/
  • 이메일pensee77@jejunu.ac.kr
  • 홈페이지
경력 및 논문
경력 및 논문
학력

· 한국교원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육학 학사
· 한국교원대학교 윤리교육 교육학 석사
· 한국교원대학교 윤리교육 교육학 박사

주요경력

·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학과장, 교육대학원 윤리교육전공 전공주임, 대학원 도덕윤리교육학부 윤리교육전공 주임교수(2020.9.~2022.8. )
· 교과와교과서학회 윤리규정위원(2024.1.1~2026.12.31.)
· 한국윤리교육학회 연구윤리위원(2025.1.~2026.12.31)
· 한국도덕윤리교육학회 중등교육실천위원(2025.1.~2026.12.31)
· 한국윤리학회 연구이사(2024.1.1~2024.12.31.)
· 한국윤리학회 연구윤리위원(2020.1~2021.12.)

주요논문 ▣ 논문
· Z세대와 학교 인성교육의 방향 - Z세대 청소년의 정신건강 실태를 중심으로 -,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, 2025.
· 2022개정 교육과정과 도덕과 교육과정 시안의 지향 및 주요 쟁점 고찰 -역량교육을 중심으로-, 윤리교육연구, 2023.
· 도덕적 직관의 인식적 의미와 도덕교육 방안 탐구, 도덕교육연구, 2021.
· 도덕적 생명향상의 필요성과 윤리적 쟁점, 도덕교육연구, 2020.
· 전문성 개념, 유형과 도덕 전문성, 윤리교육연구, 2020.
· 이중처리이론과 현대 도덕 심리학,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, 2019.
· 제4차 산업혁명 시대와 도덕과 교육 - 과학기술사회의 도덕과 교육을 중심으로 -, 윤리교육연구, 2019.
· 학교 통일교육에서 ‘통합사회’의 역할, 윤리교육연구, 2019.
· 캘리콧(J. Baird Callicott)의 환경윤리에 관한 비판적 고찰-「동물해방: 삼극 구조」를 중심으로-, 환경철학, 2019.
· 인간 향상의 윤리적 쟁점과 도덕교육적 의미, 윤리교육연구, 2017.
· 도덕에 관한 신경과학의 연구와 도덕교육, 윤리교육연구, 2016.
· 신체화된 인지의 도덕교육적 의미, 윤리교육연구, 2016.
· 도덕과 성취기준의 의미와 역할, 윤리교육연구, 2016.
· 인지과학의 두 마음 이론과 도덕교육, 도덕윤리과교육, 2015.
· 자연화된 도덕적 직관의 도덕교육적 의의에 관한 연구, (박사논문), 2014.

▣ 저서
· 고등학교 생활과 윤리교과서, 생활과윤리 교사용 지도서, 비상교육, 2017
· 고등학교 고전과윤리, 전라북도 교육청, 2018
· 중학교 도덕① 교과서, 리베르스쿨, 2025

+-

변영진 부교수

  • 세부전공

    서양철학/윤리학

  • 연구실사범대학2호관 2310호
  • 전화/국제전화064)754-3261/
  • 이메일yjbyun@jejunu.ac.kr
  • 홈페이지
경력 및 논문
경력 및 논문
학력

· 독일 지겐(Siegen)대학교 철학박사

주요경력

·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학과장/ 교육대학원 윤리교육전공 전공주임/ 도덕윤리교육학부 윤리교육전공 주임교수(2022.9.1~2024.8.31)
· 한국윤리학회 대외협력이사(2022.1.1~2025.12.31.)
· 한국윤리학회 이사(2020.1~2023.12.)

주요논문 ▣ 논문
· 스피노자의 국가와 종교 그리고 자유 - 이성적 인식과 연관하여 -, 윤리교육연구, 2025.
· 흄의 도덕론과 관망자, 윤리교육연구, 2024.
· 흄의 자연주의와 덕 윤리, 윤리연구, 2023.
· 흄의 행복과 화가의 윤리학, 초등도덕교육, 2022.
· 스피노자의 이성주의 윤리와 자유 : 칸트의 사상과 연관하여, 윤리연구, 2022.
· 흄의 자살론에 대한 윤리적 고찰, 윤리연구, 2021.
· ‘아담 스미스 문제’에 대한 고찰: 공감을 중심으로, 도덕윤리과교육, 2020.
· 비트겐슈타인과 윤리 ,윤리연구, 2019.
· 아담 스미스의 보편주의와 문화 상대주의: 공정한 관망자를 중심으로, 윤리교육연구, 2018.
· 스미스의 공감과 공정한 관망자: 흄과 칸트의 사상과 연관하여, 윤리연구, 2017.
· 비트겐슈타인의 보임에 관한 윤리교육 관점에서의 연구: 키에르케고르의 간접전달과 비교하여, 도덕교육연구, 2016.
· 『논리-철학 논고』의 무의미성: 전통적 해석과 새로운 해석의 종합, 철학사상, 2014.
· 비트겐슈타인의 언어 논리와 형이상학, 논리연구, 2013.
· Die Logik der Sprache und das Hauptproblem der Philosophie beim fruhen Wittgenstein, 2012-박사학위논문.

▣ 저서 및 번역서
· <역서> 비트겐슈타인 철학일기, 책세상, 2015.
· <공저> 서양윤리사상, 울력, 2024.

+-

박성근 부교수

  • 세부전공

    정치/사회철학

  • 연구실사범대학2호관 2306호
  • 전화/국제전화064)754-3264/
  • 이메일sgpark@jejunu.ac.kr
  • 홈페이지
경력 및 논문
경력 및 논문
학력

· 서강대학교 철학과
· 서울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육학 석사
· 서울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육학 박사

주요경력

·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학과장/ 교육대학원 윤리교육전공 전공주임/ 도덕윤리교육학부 윤리교육전공 주임교수(2024.9.1~)
· 교육과학연구소 부소장(2022.4.~2024.4.)

주요논문 ▣ 논문
· 롤스 『정의론』에 나타난 개인의 도덕적 역할과 능력 탐구- 도덕 교육의 관점에서, 도덕윤리과교육, 2025.
· 존 롤스의 정의론과 도덕 교육, 교육과학연구, 2024.
· 도덕 교육의 관점에서 바라본 공화주의, 윤리연구, 2023.
· 제주지역 대학 통일교육에 대한 연구, 탐라문화, 2023.
· 제주지역 청년세대 통일교육의 방향성과 개선방안에 대한 고찰, 제주도연구, 2022.
· 『윤리와 사상』'공동체와 공동선 및 시민적 덕성’단원에서 공동체주의의 역할모색-샌델의 공동체주의를 중심으로-,도덕윤리과교육, 2022.
· 신로마 공화주의에서 공동선 개념의 의미 -『윤리와 사상』 ‘개인선과 공동선의 조화’ 학습 내용과 관련하여-, 도덕교육연구. 2021.
· 마키아벨리 공화주의의 도덕 교육 적용 연구-『로마사 논고』를 중심으로-, 도덕윤리과교육, 2020.
· 키케로 공화주의의 도덕 교육 적용에 관한 연구: 혼합정과 자연법 개념을 중심으로, 도덕교육연구, 2020.
· 페팃의 헌정적 공화주의와 도덕 교육의 과제, 도덕교육연구, 2019.
· 『통합사회』에서 정의론 교육에 대한 제언: 샌델의 정의론을 중심으로, 교육연구, 2017.
· 현대 공화주의의 도덕 교육 적용에 관한 연구, 박사논문.

▣ 저서
· (공저) 모드락 시민성과 시민교육, 한국문화사, 2024.
· (공저) 정치사상과 통일교육, 울력, 2025.


+-

김태경 조교수

  • 세부전공

    응용윤리(서양,심리철학) / Doctor of Philosophy in Philosophy

  • 연구실사범대학2호관 2311호
  • 전화/국제전화064)754-3267/
  • 이메일ktkw21@jejunu.ac.kr
  • 홈페이지
경력 및 논문
경력 및 논문
학력

· 한남대학교, 철학전공, 문학사
· Oklahoma City Univ. Department of Philosophy. 석사
· Univ Edinburgh. Department of Philosophy. 석사
· Univ York. Department of Philosophy. 박사

주요경력 ·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부소장(2024.4.16~2026.4.15.)
· 한국과학철학회 총무이사(2023.9.1~2025.8.31.)
주요논문

· 인공지능으로부터 야기되는 윤리적 문제에 대한 사회적 합의는 가능한가? - 고인석 저, 『인공지능과 로봇의 윤리』에서 인공지능의 자율성과 책임귀속의 문제를 중심으로, 과학철학, 2023.
· 마음-업로딩과 심적상태의 동일성 문제, 동서철학연구, 2023.
· 전통적 성윤리에 기반한 섹스로봇에 대한 도덕적 가치판단은 정당한가?, 동서철학연구, 2023.
· 지각,내용 그리고 인지적 침투(Cognitive Penetration)-인지적 침투의 불가능성과 지각적 표상 내용의 비개념성 문제,동서철학연구,2022.
· 지각적 표상은 비명제적 내용을 갖는가? - 지각적 표상 내용에 대한 개념주의적 접근 -, 동서철학연구, 2021.
· 리얼돌과 섹스로봇의 상징성 문제, 과학철학, 2020.
· 비인간적 존재들의 지각 경험이 갖는 표상적 내용에 대한 개념주의적 접근, 가톨릭철학, 2019.
· 섹스로봇(Sex robot)의 상용화가 갖는 윤리적 문제와 윤리적 정당성 확보에 대하여, 철학논총, 2019.
· 장기기증을 위한 뇌사자의 안락사 문제 - 뇌사자의 비자의적 장기기증(nonvoluntary organ donation)에 대한 윤리적 정당성 검토. 생명, 윤리와 정책, 2019.
· 지시사의 사용능력과 지각경험의 개념성 문제, 가톨릭철학, 2017.
· 지각 경험의 하위단계와 비개념적 내용, 철학·사상·문화, 2017.
· Perception, Content and Conceptual Engagement - Is there any nonconceptual content?(박사논문)
· Quine’s Indeterminacy Thesis and the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(석사논문)

+-

고성준 명예교수

  • 세부전공

    정치학 / 북한 및 통일

  • 연구실
  • 전화/국제전화/
  • 이메일joonsk50@gmail.com
  • 홈페이지
경력 및 논문
경력 및 논문
학력

○ 1972. 02. 서강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졸업(학사)
○ 1977. 08. 서강대학교 신문방송학과 대학원 졸업(석사)
○ 1988. 08. 건국대학교 대학원 정치학과 졸업(박사)

주요경력

○ 1978. 4 ~ 2016.2 제주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
○ 1996. 7 ~ 1998. 2 제주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장 역임
○ 1999. 1 ~ 2000. 2 미국 컬럼비아 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교환 교수
○ 2009. 6 ~ 2012.6 통일부 정책자문 위원
○ 2011. 3 ~ 2014. 2 제주대학교 평화연구소 소장
○ 2010. 2 ~ 통일교육위원 제주도협의회 회장, 통일교육센터장
○ 2013. 7 ~ 민주평통 상임위원
○ 2016.2 ~ 현재 윤리교육과 명예교수

주요논문

○ 주체사상과 북한사회주의(공저), 문우사, 1990.
○ 전환기의 북한사회주의(공저), 대왕사, 1992.
○ 동아시아의 평화의섬 제주(공저), 제주대출판부, 2004.
○ L.P. 바라다트 저, 현대정치사상(공역), 평민사, 1994.
○ 대북 정책의 대국민 확산 방안(공저), 통일연구원, 2009.
○ 청소년 대상 통일 필요성 논리개발, 통일부, 2010.
○ 통일필요성의 재인식, 통일부 통일교육원, 2011.
○ 학교통일교육의 이해(편), 오름, 2013.

+-

양방주 명예교수

  • 세부전공

    동양철학

  • 연구실
  • 전화/국제전화/
  • 이메일yangveda@jejunu.ac.kr
  • 홈페이지
경력 및 논문
경력 및 논문
학력
주요경력

·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부회장
·제주도교원단체총연합회 이사
·학교법인동원교육학원(임시)이사

주요논문

+-

허정훈 명예교수

  • 세부전공

    서양철학

  • 연구실
  • 전화/국제전화/
  • 이메일hoonjh@jejunu.ac.kr
  • 홈페이지
경력 및 논문
경력 및 논문
학력

전북대학교 문학사
서울대학교 교육학석사
한국외국어대학교 문학석사
전북대학교 철학박사

주요경력

· 사범대학 윤리교육과장
· 한국윤리학회 부회장

주요논문

+-

양길현(퇴임) 교수

  • 세부전공

    비교정치

  • 연구실
  • 전화/국제전화/
  • 이메일yangh@jejunu.ac.kr
  • 홈페이지
경력 및 논문
경력 및 논문
학력

·서울대학교 정치학과 졸업
·서강대학교 대학원 정치외교학과 졸업(석사)
·서울대학교 대학원 정치학과 졸업(박사)

주요경력

· 윤리교육과 학과장
· 제주대학교 4대 교수회장
· (사)제주국제협의회 이사장(2018.7~2020.6.)
· 제주대학교 평화연구소 소장(2005.9-2007.8)
· 동북아시대위원회 전문위원(2004.9-2008.2)
·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(2005.7-2009.6)
· 2021. 8. 31. 퇴임

주요논문

·"화순항 해군기지 논쟁에 대한 비판적 평가: 협력안보의 시각"
·"동아시아 공동체의 가능성과 전략"
·"다시 보는 연합제-낮은 단계의 연합제"

+-