강봉수 교수

| 경력 및 논문 | |
|---|---|
| 학력 | ·제주대학교 윤리교육과 졸업
|
| 주요경력 | · 한국윤리교육학회 부회장
|
| 주요논문 | ▣ 논문
· 제주인의 친목회 활동과 부조문화에 대한 의식조사 연구 - 제주시 동(洞) 지역의 문중(종친)회, 동창(동문)회, 향우회를 중심으로, 탐라문화, 2023. · 최한기의 도덕심리학 연구, 윤리교육연구, 2022. · 최한기의 도덕지식론 연구, 윤리교육연구, 2020. · 공자학에서 장자학으로 철학적 사유의 계승과 발전 -『논어』의 공자와『장자』의 공자 비교-,윤리교육연구, 2019 · 맹자윤리학에서 도덕적 가치갈등의 해결, 윤리연구, 2017. · 맹자의 노심자(勞心者)의 도덕적 책무에 관한 연구, 도덕윤리과교육, 2017. · 맹자의 사상적 대결과 유학의 정통성 확립, 윤리교육연구,2016. · 묵자의 도덕교육론 연구, 윤리교육연구,2015. · 묵자철학에서 필연과 자유의 관계, 도덕윤리과교육, 2015. · 제주의 의식주생활에 함의된 윤리적 문화문법, 윤리연구, 2014. · 노자의 무위정치와 생명평화공동체, 윤리교육연구, 2013. · 노자의 도덕교육사상 다시 읽기: 말없는 가르침과 직관적 깨달음, 도덕윤리과교육, 2013. · 노자 [도덕경]에 함의된 생명사랑의 무위윤리와 겸허의 덕, 윤리교육연구, 2013. · 노자 인성론의 수양론적 재해석:지성과 본능의 소유론적 욕망 내려놓기, 도덕윤리과교육, 2013. · 공자정치론의 사회윤리적 접근, 윤리교육연구 , 2012 · [논어] 속의 인간상 연구: 인격적 전형을 중심으로, 도덕윤리과교육, 2012 · 공자의 윤리사상 다시 읽기: 인 개념의 재조명을 중심으로, 윤리연구, 2012 · 왕양명의 ‘良知學’과 도덕직관 함양론, 윤리연구, 2010. ▣ 저서 및 역서 · 도덕윤리교과 예비교사를 위한 동양윤리사상(하) -불교와 신유학 편-, 제주대학교출판부, 2024. · 도덕윤리교과 예비교사를 위한 동양윤리사상(상) 제자백가철학 편, 제주대학교출판부, 2022. · 제주문화문법과 교육, 누리, 2020. · 맹자의 철학사상, 강현출판사, 2018. · [성학십도]와 한국철학 경연, 강현출판사, 2016. · 묵자의 철학사상 - 밥을 나눈 사랑, 강현출판사, 2016. · <공저> 통일한국과 세계평화의 섬 제주, 오름, 2016. · 동양 도덕교육론, 제주대학교출판부, 2014. · 노자에게 길을 묻다, 누리, 2014. · 주제별 키워드로 읽는 논어와 세상보기의 도, 원미사, 2012. · 제주의 윤리문화와 도덕교육, 누리, 2009. · 한국유교 도덕교육론, 한국학술정보(주), 2008. · <공저> 중등교과학습지도법, 성민출판, 2006. · 한국전통 도덕교육론, 한국학술정보(주), 2006. · <공저> 제주국제자유도시와 세계시민교육, 오룸 2003. · 유교도덕교육론, 원미사, 2001. · <역서> 「중국윤리사상사」,원미사, 2007 |
| 경력 및 논문 | |
|---|---|
| 학력 | · 한국교원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육학 학사
|
| 주요경력 | ·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학과장, 교육대학원 윤리교육전공 전공주임, 대학원 도덕윤리교육학부 윤리교육전공 주임교수(2020.9.~2022.8. )
|
| 주요논문 | ▣ 논문
· Z세대와 학교 인성교육의 방향 - Z세대 청소년의 정신건강 실태를 중심으로 -,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, 2025. · 2022개정 교육과정과 도덕과 교육과정 시안의 지향 및 주요 쟁점 고찰 -역량교육을 중심으로-, 윤리교육연구, 2023. · 도덕적 직관의 인식적 의미와 도덕교육 방안 탐구, 도덕교육연구, 2021. · 도덕적 생명향상의 필요성과 윤리적 쟁점, 도덕교육연구, 2020. · 전문성 개념, 유형과 도덕 전문성, 윤리교육연구, 2020. · 이중처리이론과 현대 도덕 심리학,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, 2019. · 제4차 산업혁명 시대와 도덕과 교육 - 과학기술사회의 도덕과 교육을 중심으로 -, 윤리교육연구, 2019. · 학교 통일교육에서 ‘통합사회’의 역할, 윤리교육연구, 2019. · 캘리콧(J. Baird Callicott)의 환경윤리에 관한 비판적 고찰-「동물해방: 삼극 구조」를 중심으로-, 환경철학, 2019. · 인간 향상의 윤리적 쟁점과 도덕교육적 의미, 윤리교육연구, 2017. · 도덕에 관한 신경과학의 연구와 도덕교육, 윤리교육연구, 2016. · 신체화된 인지의 도덕교육적 의미, 윤리교육연구, 2016. · 도덕과 성취기준의 의미와 역할, 윤리교육연구, 2016. · 인지과학의 두 마음 이론과 도덕교육, 도덕윤리과교육, 2015. · 자연화된 도덕적 직관의 도덕교육적 의의에 관한 연구, (박사논문), 2014. ▣ 저서
|
| 경력 및 논문 | |
|---|---|
| 학력 | · 독일 지겐(Siegen)대학교 철학박사 |
| 주요경력 | ·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학과장/ 교육대학원 윤리교육전공 전공주임/ 도덕윤리교육학부 윤리교육전공 주임교수(2022.9.1~2024.8.31)
|
| 주요논문 | ▣ 논문
· 스피노자의 국가와 종교 그리고 자유 - 이성적 인식과 연관하여 -, 윤리교육연구, 2025. · 흄의 도덕론과 관망자, 윤리교육연구, 2024. · 흄의 자연주의와 덕 윤리, 윤리연구, 2023. · 흄의 행복과 화가의 윤리학, 초등도덕교육, 2022. · 스피노자의 이성주의 윤리와 자유 : 칸트의 사상과 연관하여, 윤리연구, 2022. · 흄의 자살론에 대한 윤리적 고찰, 윤리연구, 2021. · ‘아담 스미스 문제’에 대한 고찰: 공감을 중심으로, 도덕윤리과교육, 2020. · 비트겐슈타인과 윤리 ,윤리연구, 2019. · 아담 스미스의 보편주의와 문화 상대주의: 공정한 관망자를 중심으로, 윤리교육연구, 2018. · 스미스의 공감과 공정한 관망자: 흄과 칸트의 사상과 연관하여, 윤리연구, 2017. · 비트겐슈타인의 보임에 관한 윤리교육 관점에서의 연구: 키에르케고르의 간접전달과 비교하여, 도덕교육연구, 2016. · 『논리-철학 논고』의 무의미성: 전통적 해석과 새로운 해석의 종합, 철학사상, 2014. · 비트겐슈타인의 언어 논리와 형이상학, 논리연구, 2013. · Die Logik der Sprache und das Hauptproblem der Philosophie beim fruhen Wittgenstein, 2012-박사학위논문. ▣ 저서 및 번역서 · <역서> 비트겐슈타인 철학일기, 책세상, 2015. · <공저> 서양윤리사상, 울력, 2024. |
| 경력 및 논문 | |
|---|---|
| 학력 | · 서강대학교 철학과
|
| 주요경력 | ·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학과장/ 교육대학원 윤리교육전공 전공주임/ 도덕윤리교육학부 윤리교육전공 주임교수(2024.9.1~)
|
| 주요논문 | ▣ 논문
· 롤스 『정의론』에 나타난 개인의 도덕적 역할과 능력 탐구- 도덕 교육의 관점에서, 도덕윤리과교육, 2025. · 존 롤스의 정의론과 도덕 교육, 교육과학연구, 2024. · 도덕 교육의 관점에서 바라본 공화주의, 윤리연구, 2023. · 제주지역 대학 통일교육에 대한 연구, 탐라문화, 2023. · 제주지역 청년세대 통일교육의 방향성과 개선방안에 대한 고찰, 제주도연구, 2022. · 『윤리와 사상』'공동체와 공동선 및 시민적 덕성’단원에서 공동체주의의 역할모색-샌델의 공동체주의를 중심으로-,도덕윤리과교육, 2022. · 신로마 공화주의에서 공동선 개념의 의미 -『윤리와 사상』 ‘개인선과 공동선의 조화’ 학습 내용과 관련하여-, 도덕교육연구. 2021. · 마키아벨리 공화주의의 도덕 교육 적용 연구-『로마사 논고』를 중심으로-, 도덕윤리과교육, 2020. · 키케로 공화주의의 도덕 교육 적용에 관한 연구: 혼합정과 자연법 개념을 중심으로, 도덕교육연구, 2020. · 페팃의 헌정적 공화주의와 도덕 교육의 과제, 도덕교육연구, 2019. · 『통합사회』에서 정의론 교육에 대한 제언: 샌델의 정의론을 중심으로, 교육연구, 2017. · 현대 공화주의의 도덕 교육 적용에 관한 연구, 박사논문. ▣ 저서 · (공저) 모드락 시민성과 시민교육, 한국문화사, 2024. · (공저) 정치사상과 통일교육, 울력, 2025. |

| 경력 및 논문 | |
|---|---|
| 학력 | · 한남대학교, 철학전공, 문학사
|
| 주요경력 | ·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부소장(2024.4.16~2026.4.15.)
· 한국과학철학회 총무이사(2023.9.1~2025.8.31.) |
| 주요논문 | · 인공지능으로부터 야기되는 윤리적 문제에 대한 사회적 합의는 가능한가? - 고인석 저, 『인공지능과 로봇의 윤리』에서 인공지능의 자율성과 책임귀속의 문제를 중심으로, 과학철학, 2023.
|
| 경력 및 논문 | |
|---|---|
| 학력 | ○ 1972. 02. 서강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졸업(학사)
|
| 주요경력 | ○ 1978. 4 ~ 2016.2 제주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
|
| 주요논문 | ○ 주체사상과 북한사회주의(공저), 문우사, 1990.
|
| 경력 및 논문 | |
|---|---|
| 학력 | |
| 주요경력 | ·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부회장
|
| 주요논문 | |
| 경력 및 논문 | |
|---|---|
| 학력 | 전북대학교 문학사
|
| 주요경력 | · 사범대학 윤리교육과장
|
| 주요논문 | |
| 경력 및 논문 | |
|---|---|
| 학력 | ·서울대학교 정치학과 졸업
|
| 주요경력 | · 윤리교육과 학과장
|
| 주요논문 | ·"화순항 해군기지 논쟁에 대한 비판적 평가: 협력안보의 시각"
|















